공매도 재개 + 5월에 팔아라: 주식 팔기 전 공매도 개념 정리

오늘, 2021년 5월 3일 드디어 공매도를 재개한다. 코스피 200과 코스닥 150 종목에 한하여 부분 재개하는 것이다. 공매도 재개에 맞춰 공매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대응 전략을 고민해보자.

공매도란?

공매도(short selling, 空賣渡)는 소유하지 않은 증권을 매도하는 것이다.

소유하지 않은 증권을 어떻게 매도할까?

빌려서 매도한다.

그러면 누가 빌려주는가?

주식을 소유한 사람이 빌려준다. 예전에는 증권사만 주식을 대여할 수 있었으나 이제 개인도 주식을 대여할 수 있다. 증권사 MTS나 HTS에 보면 주식 대여난이 있다.

그러면 왜 증권을 빌려주는가?

일정량의 수수료를 주기 때문이다. 증권사들은 0.5%에서 5%까지 수수료를 준다고 공시한다. 그런데 이 수수료가 어떻게 책정되고 얼마를 책정하는지는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다.

왜 빌리는가?

증권 가격이 떨어지면 떨어진 가격에 갚으려고 빌린다. 가령 증권 가격이 5000원 할 때 만 주를 빌렸다고 하자. 여기서 증권 가격이 10%가 떨어지면, 빌린 사람은 4500원에 증권을 사서 갚으면 된다. 이렇게 되면 빌린 사람은 5천 만원의 10%를 수익으로 거두는 것이다. 500만원을 번 것이다.

주가를 떨어뜨리는 공매도를 왜 허용하는가?

증권 가격에 거품이 심한 경우 공매도는 거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실적이 뒷받침 되지 않았으나 미래 성장성은 큰 회사는 공매도 세력의 표적이 된다. 나쁘게 말하면 주가를 떨어뜨리는 것이고 좋게 말하면 거품을 제거해서 성장성 있는 회사의 주식을 싸게 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큰 자산운용 회사들의 자금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허용한다. 큰 자산운용 회사들은 공매도를 통해서 위험을 회피한다(헷지). 주식이 오를 것을 예상하고 주식을 사면서도 한 편으로는 떨어질 것을 대비해서 공매도 물량을 확보한다. 오르면 오르는 대로 수익을 얻고 떨어지면 공매도를 통해서 수익을 얻는다. 공매도로 버는 수익은 주가가 떨어지는 것에 대한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런 공매도를 계속 금지하면 대규모 자산운용 회사들이 한국 시장에 매력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투자자금 유치에 있어서 불리하게 된다.

문제가 되는 공매도는 무엇인가?

게임스탑(GME) 사태에서 많은 사람들은 회사의 전체 주식수보다 공매도 수량이 많은 것을 보고 의아해 했다. 어떻게 주식 수보다 빌린 주식 수가 많은가 이 말이다. 그런데 그럴 수 있다. 왜냐하면 빌려서 또 빌려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한 회사에 공매도 세력이 집결해서 자기들만의 힘으로 회사의 주가를 마구 떨어뜨릴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마치 하이에나처럼 몰려들어서 서로 공매도를 치고 그 결과 주가가 빠지면 엄청난 이익을 얻고 빠지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렇게 몰려다니면서 투자금이 적은 개인 투자자들의 주머니를 털 수 있는 것이다.

돈이 많은 운용사들이 회사의 운영을 어렵게 하고 개인 투자자들에게 손해를 끼칠 수 있는 것이 지금 공매도 제도의 헛점이다.

보완대책은 무엇인가?

각 국은 그래서 무차입 공매도 같은 것을 제한하고 있다. 무차입 공매도는 주식을 빌리지도 않고 매도 주문을 걸 수 있는 공매도다. 얼른 이해가 안 되지만 하여튼 그런 것이 있다.

또한 공매도 수량을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하는 제도 등을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공매도 수량 볼 수 있는 사이트 바로가기.

공매도+5월: 주식을 팔기 전에

내가 가진 주식의 공매도 수량을 점검해 보기.

어디까지 떨어질까 나름대로 예상해보기.

가용 현금이 얼마나 있는가 살펴보고 대응할 준비하기.

실적에 비해 너무 많이 오른 종목을 가지고 있으면 일정 부분 수익 실현하기.